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다양한 사회적 경제기업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 등록 2016.02.24 13:43:22
크게보기

어느덧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74년) 약 1천644만명이 다양한 형태로 퇴직하고 있다. 구조조정, 명예퇴직, 정년퇴직 등으로 퇴직을 하고 제2의 인생을 위해 또 다른 일자리를 찾아 나서고 있다.

하지만 중장년 일자리는 쉽게 구하기가 어렵다. 얼마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편의점, 주유소, 패스트푸드점 등에 50대 중년남성 아르바이트가 늘어나고 있다. 자영업자도 올해 562만명으로 과포화 상태이고, 지난 10년간 자영업자의 생존률은 16.4%에 불과했다. 이러한 현실에서 중장년과 시니어들은 자영업이나 창업에 도전하기도 쉽지 않다.

요즘 중장년이 중소중견기업에 들어가기가 쉽지 않다고들 많이 이야기 한다. 그래서 많이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가 사회적 경제기업이다.

예를 들면 마을기업,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마을공동체 등에 관심을 갖고 찾아가보길 권장한다. 마을기업은 특히 고령화 되어가고 있는 시골의 어르신들이 경제 활동이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계층이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아이템들이 많이 있다.

마을기업의 주요 사업은 지역자원 활용형 마을기업,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친환경 녹색에너지 마을기업, 복지형 마을기업 등 다양한 아이템을 사업화해 나가고 있다. 

주요 특징은 마을단위의 일자리창출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지역 발전을 들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과 비영리 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며 재화,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을 말한다. 유형별로는 일자리 제공형, 사회서비스 제공형, 혼합형, 지역사회 공헌형 등이 있다.

현재 사회적 기업은 1350여개가 있으며 아이템에 따라 수익이 많이 나거나 적자를 보기도 한다. 보통은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 운영하면서 향후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 받는 절차를 거치고 있으며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인증을 하고 자금, 컨설팅 등의 지원을 하고 있다.

협동조합은 조합원 5인 이상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아이템을 가지고 시·도지사에게 신고를 하면 된다. 특히 금융업, 대부업, 카드업, 보험업 등을 제외한 다양한 아이템으로 사업을 꾸려나가면 된다. 현재 국내에 신고된 협동조합은 7,500여개가 된다. 협동조합은 법인, 사회적 협동조합은 비영리법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협동조합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국내는 2013년 12월부터 시행하고 있어 대다수가 신생 협동조합이고 은퇴를 한 50대 베이비부머 세대가 주를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우유 협동조합이 좋은 사례이다.

의정부소식 osk6307@naver.com
Copyright @2016 경기주간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제호: 경기주간신문 등록번호: 경기, 아50753 / 등록일 : 2013년 8월 26일 / 사업자번호 : 108-23-34050 발행인 : 오세욱 / 편집인 : 오세욱 /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세욱 발행소:경기도 의정부시 행복로 19 3층 303호(의정부동) 전화:010 6291 5213 경기주간신문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홈페이지 : www.usosi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