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주간신문 = 정성경 기자 ] 김포시는 공영주차장 1시간 주차요금 감면 혜택을 연장하기로 했다. 이번 연장 결정은 코로나19로 인한 시민들의 피로감을 해소하여 활기찬 도시로의 회복을 촉진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것으로, 현재 추진 중인 공영주차장 통합운영 시스템이 운영될 때까지 김포시의 모든 유료 공영주차장에서 최초 1시간 주차요금이 면제된다. 김포시 김영대 교통과장은 “공영주차장 1시간 주차요금 감면 연장으로 인해 지역생활안정과 자영업자·소상공인들에게 간접지원을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인해 소비촉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 이라고 기대했다. 주차요금 1시간 감면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의 위기 극복을 위한 김포시 특화 지원정책의 일환으로, 2020년 11월부터 22년 6월 현재까지 자동차 273만대, 주차요금 27억원의 감면혜택이 공영주차장 이용자들에게 돌아갔으며, 많은 시민들이 공감하는 ‘일상생활 속 우수지원 사례’로 꼽히고 있다.
[ 경기주간신문 = 정성경 기자 ] 김포시는 2020년 7월 4일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 2.68㎢(88필지) 중 1.73㎢(76필지)를 해제하고, 나머지 0.95㎢(12필지)를 재지정한다고 밝혔다. 오는 7월 3일 자로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 88필지의 지정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김포시 고촌읍 풍곡리 산57번지 외 75필지(총76필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하고, 김포시 고촌읍 풍곡리 산52-1번지 외 11필지(총12필지)는 2022년 7월 4일부터 2023년 7월 3일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1년간 연장했다. 이에 현재 남아있는 김포시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고촌읍 풍곡리 산52-1번지를 포함한 총 17필지 983,892㎡이며, 해당 지역을 기준면적 이상의 토지거래 시 김포시 토지정보과에서 토지거래허가를 받아야 한다. 또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 해제로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 76필지는 허가를 받지 않고 거래할 수 있으며, 기존에 허가를 받아 취득한 토지에 대한 이용 의무도 사라지게 된다. 신현성 토지정보과장은 “현재 남아있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토지의 투기적 거래를 억제하고, 건전한 부동산 거래 질서 확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주간신문 = 정성경 기자 ] 김병수 김포시장의 4년 시정방향 등을 담은 민선 8기 시정 구호가 '통하는 70도시 우리 김포'로 확정됐다. 김 시장은 시민 여론 청취와 인수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철도교통망 확대와 지역간 균형발전으로 70만 대도시로 김포를 성장시키겠다는 의지를 담아 시정 구호를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시정 방향은 ▲생각이 통하는 도시 ▲상식이 통하는 도시 ▲교통이 통하는 도시를 제시했다. ‘생각이 통하는 도시’는 시민이 시정의 주인이며 시민의 생각이 정책이 되고 비전이 되는 ‘소통’, ‘경청’, ‘공감’의 시정 구현을 말한다. ‘상식이 통하는 도시’는 법과 제도, 원칙이 지켜지고, 보통의 상식을 가진 사람이 잘 사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교통이 통하는 도시’는 급속한 도시 확대와 인구증가에 대비해 철도교통 중심의 김포형 교통망 구축으로 시민들이 어디든 빠르고 편안하게 통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김 시장은 “‘통(通)하는 김포’를 향한 위대한 행보는 ‘교통 해소’와 ‘시민 소통’이라는 목표 아래 이뤄질 것”이라며 “민선 8기는 본격적으로 ‘70만 김포시대’를 준비해야 하는 만큼 철도망